
이번 조사는 관내의 산업단지·공장지역, 교통관련 시설지역, 폐기물 처리·재활용 관련지역 등 오염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수행했으며 토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 유형에 따라 표토와 지하 5m 심토에 대해 토양산도, 중금속류 8종, 유기용제류 등 총 23개 항목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기준을 초과한 지점의 항목을 살펴보면 산업단지·공장지역 21개 지점 중 1개 지점에서 아연 4,183.1 mg/kg으로 3지역 기준을 초과했으며 폐기물처리·재활용 관련지역 13개 지점 중 1개 지점에서는 구리와 아연이 1,445.3mg/kg, 969.6mg/kg으로 2지역 기준을 각각 초과했다.
또한 공장폐수 유입지역 31개 지점중 1개 지점에서는 불소가 496 mg/kg 으로 2지역 기준을, 다른 1개 지점에서는 아연이 699.7 mg/kg 으로 1지역 기준을 각각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지난해 결과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조사결과를 해당 군·구에 통보했으며 군·구에서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지역에 대해 오염 원인자인 정화책임자에게 토양정밀조사 등 조치명령을 통해 토양 생태계가 보전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권문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향후 토양오염 실태조사를 확대 실시하고 토양오염 관리에 앞장서 시민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서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