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랑길 강릉구간 4부… 38코스 트레킹

김평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0 21:10:27
  • -
  • +
  • 인쇄


솔바람다리 앞에 있는 남항진해변 조형물
솔바람다리 앞에 있는 남항진해변 조형물


[뉴스서울] 해파랑길 강릉구간 네 번째 코스인 38코스(강릉바우길 6구간)는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오독떼기전수회관에서 출발하여 어단천, 구정면 중심부, 섬석천, 장현저수지를 지나 강릉시내 노암동으로 진입한 뒤 남대천을 건너 강릉시내 중심부인 강릉대도호부관아, 강릉중앙시장, 월화거리를 통과한 뒤 다시 월화교를 통해 남대천을 건너 청량동 마을, 섬석천 뚝방길을 걸어 남항진해변 솔바람다리까지 연결된 코스이다.



해파랑길 38코스 시작 표식. 해파랑길 38코스는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오독떼기전수회관에서 시작된다.
해파랑길 38코스 시작 표식. 해파랑길 38코스는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오독떼기전수회관에서 시작된다.


해파랑길 38코스는 시골하천과 길을 걸어 강릉시내 중심부에 들어 갔다가 다시 외곽으로 나와 시골마을길을 걸어 남항진 해변과 동해바다로 나오는 특색있는 코스이며, 강릉바우길에서는 6코스를 ‘굴산사 가는길’ 이라고 이름 짓고 있다.


이처럼 해파랑길 38코스는 강릉 시골마을길, 어단천, 섬석천, 남대천 등 강릉의 하천, 장현저수지, 강릉시내 중심부, 남항진 해변 등 강릉의 다양한 모습을 모두 느낄 수 있는 트레킹 코스이다.



조철현 가옥 모습.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있는 전통가옥으로 6.25전쟁 때 폭격을 받아 무너졌는데 1953년 중창하였다. 대부분의 중부지방 가옥은 ㅁ자집 형태이지만 조철현 가옥은 대문간채 없이 ㄷ자집 형태이다.
조철현 가옥 모습.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있는 전통가옥으로 6.25전쟁 때 폭격을 받아 무너졌는데 1953년 중창하였다. 대부분의 중부지방 가옥은 ㅁ자집 형태이지만 조철현 가옥은 대문간채 없이 ㄷ자집 형태이다.


5월 첫째날 해파랑길 37코스 트레킹을 마치고 오후 5시 17분경 학산리 오독떼기전수회관에서 해파랑길 38코스 트레킹을 시작하였다.


먼저 어단천 천변길을 따라 쭉 걷다가 구정초교 앞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바꿔 학산교를 넘어 구정면 중심부에 접어 들었다.


그 후 오동교를 넘어 우측 섬석천 뚝방길에 들어섰고 조금 더 걷다보니 '장현저수지'라는 상당히 큰 저수지에 도착하였다. 장현저수지 주변에는 강태공들이 꽤 많이 있어 물고기와 더불어 세월을 낚고 있었다.



강릉시 노암동 오래된 도시길. 노암육교를 지나 강릉교육지원청 앞을 지나는 오래된 도시길의 모습이 왠지 정감이 간다.
강릉시 노암동 오래된 도시길. 노암육교를 지나 강릉교육지원청 앞을 지나는 오래된 도시길의 모습이 왠지 정감이 간다.


장현저수지를 지나 마을길과 산길을 따라 한참 걷다보니 어느덧 강릉시 노암동에 진입하게 되었다.


폴리텍대 강릉캠퍼스, 노암동아파트단지, 노암육교, 강릉교육지원청 등 노암동 도시길을 답보한 뒤 단오공원을 지나 강릉시내를 관통하는 남대천을 건넜다.


이어서 현재와 과거가 뒤섞인 명주동 골목길을 지나 강릉대도호부관아에 도착한 뒤 역사의 존재와 자취를 잠시 숙고하였다.



남대천 창포다리. 창포다리는 남대천 둔치와 명주동 거리를 잇는 도보교이다. 
남대천 창포다리. 창포다리는 남대천 둔치와 명주동 거리를 잇는 도보교이다.


다시 발걸음을 재촉하여 강릉의 가장 중심로 중 하나인 금성로를 지나 강릉중앙시장에 도착하여 북적대는 사람들의 유쾌한 번잡스러움을 접하기도 하였고 맛집 노포에서 맛깔스러운 음식으로 입의 호사를 누리기도 하였다.


강릉중앙시장 바로 옆에는 도심의 폐철도 유휴 부지에 조성한 '월화거리'가 있었는데 필자는 저녁 불빛아래 월화거리를 걸으며 낭만에 잠시 취하기도 하였다.



칠사당(七事堂). 강릉시 명주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 건축물이다. 조선 시대 수령의 주요 업무가 칠사(七事)로 규정되었던 데서 연유하여 지방에서 수령의 집무처를 칠사당(七事堂)이라 명명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수비대가 있었고 뒤에 강릉군수의 관사로 쓰이다가 6·25 전쟁 때 민사 원조단에서 임시로 사용하였고, 1958년까지 강릉시장 관사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강릉 단오제의 신주를 빚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칠사당(七事堂). 강릉시 명주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 건축물이다. 조선 시대 수령의 주요 업무가 칠사(七事)로 규정되었던 데서 연유하여 지방에서 수령의 집무처를 칠사당(七事堂)이라 명명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수비대가 있었고 뒤에 강릉군수의 관사로 쓰이다가 6·25 전쟁 때 민사 원조단에서 임시로 사용하였고, 1958년까지 강릉시장 관사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강릉 단오제의 신주를 빚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저녁 8시경 월화거리에서 해파랑길 38코스 첫날 트레킹을 마친 뒤 숙소에 들어가 하루 일정을 마무리하고 숙면을 취하였다.


다음 날인 5월 둘째 날 아침 7시경 숙소에서 나와 어제까지 걸은 해파랑길 38코스(강릉바우길 6구간) 나머지 구간 트레킹을 시작하였다.


남대천철교가 도보교로 바뀐 '월화교'를 이용하여 남대천을 건넜는데, 월화교 남단에 '월화정'이 복원되어 있어 남대천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었다.



월화교 야경. 원래 기차가 다니는 남대천 철교였으나 폐철도가 되자 도보교로 바뀌었고 이름을 ‘월화교’라고 칭하였다.
월화교 야경. 원래 기차가 다니는 남대천 철교였으나 폐철도가 되자 도보교로 바뀌었고 이름을 ‘월화교’라고 칭하였다.


폐선철로길을 산책로로 조성한 도보길을 걷다보니 '노암터널'이 나왔다. 예전에는 기차가 통과하던 터널을 이제는 사람들이 걸어서 통과하게 되다니 새로운 느낌이었다.


노암터널을 지나 원형로터리에서 '청량학동길'로 방향을 잡았다. '청량동'은 강릉시내라고는 하지만 숲속에 편안히 자리한 시골마을이었고, '학동' 역시 고즈넉한 시골마을의 느낌을 자아내는 곳이었습니다.



 노암터널. 원래는 기차가 다니던 터널이었는데 해당 구간이 지하화되자 철길을 산책로로 변경하면서 노암터널도 사람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곳으로 변하였다.
노암터널. 원래는 기차가 다니던 터널이었는데 해당 구간이 지하화되자 철길을 산책로로 변경하면서 노암터널도 사람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곳으로 변하였다.


1955년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이 병합되어 '강릉시'로 승격되었는데, 강릉시 동남부 지역인 지금의 청량동, 학동, 병산동, 남항진동은 과거 '성덕면' 이었던 곳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골마을의 느낌이 많이 남아 있다.


청량동과 학동, 병산동의 마을길을 천천히 걸으면서 게으른 휴일 아침의 온기와 대지의 생그러움을 만끽하였다.



강릉시의 남동쪽 시골 마을인 학동 길가에 있는 솟대
강릉시의 남동쪽 시골 마을인 학동 길가에 있는 솟대


계속 걸어 강원도교육연수원을 지나 병산교를 넘어 섬석천 제방길을 따라 걷다보니 남항진해변에 도착하였다.


남항진에는 강릉공군기지가 있었으나 휴일이라서 그런지 비행기 이착륙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남항진해변에서 강릉항쪽으로 넘어가는 인도교인 '솔바람다리' 앞에 오전 9시경 도착하여 해파랑길 38코스 트레킹(강릉바우길 6구간)을 모두 완료하였다.



섬석천 제방길. 강릉시 병산동에서 남항진 해변으로 연결되는 섬석천의 제방길이다.
섬석천 제방길. 강릉시 병산동에서 남항진 해변으로 연결되는 섬석천의 제방길이다.


38코스 트레킹 거리는 첫날 9.05km, 둘째날 8.03km 합계 17.08km 였고, 걸은 시간은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첫날 2시간 38분, 둘째날 2시간 01분 합계 4시간 39분이 소요되었다.



솔바람다리 앞에 있는 남항진해변 조형물
솔바람다리 앞에 있는 남항진해변 조형물


# 38코스 트레킹 코스 : {첫날} 오독떼기전수회관(17:17) - 조철현 가옥 입구(17:33) - 학산교(17:36) - 오동교(17:48) - 여찬교(17:54) - 장현저수지(18:00) - 모산등산로 입구(18:15) - 폴리텍대강릉캠퍼스(18:20) - 노암한라3차아파트 (18:30) - 노암육교(18:40) - 강릉교육지원청 (18:44) - 단오공원 (18:50) - 남대천 둔치(18:57) - 창포다리(19:00) - 강릉대도호부관아(19:11) - 중앙시장(19:47) - 월화거리(19:50) - 숙소 (20:00) - {둘째날} 숙소(06:58) - 월화교(07:06) - 월화정(07:13) - 노암터널 (07:19) - 로터리(07:27) - 청량동삼거리 버스정류장(07:39) - 청량동 시내버스종점(07:44) - 청량동 입구(08:00) - 학동한옥펜션(08:12) - 강원도교육연수원(08:26) - 병산교(09:10) - 남항진교(08:41) - 남항진해변(08:49) - 솔바람다리(08:58)



해파링길 트레킹 38코스 거리 및 기록
해파링길 트레킹 38코스 거리 및 기록



[저작권자ⓒ 뉴스서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